전체 글 954

디스크 관리

하드 IDE하드 /dev/hd* hda hdb hdc SCSI 하드 (서버용 하드) /dev/sd* sda sdb sdc 하드 장착 -> 파티션 할당(파티션을 그냥 사용할 수 없고 특정 디렉토리에 마운트 시켜야 함.) -> 파티션 이름은 sda1 sda2 sda3 MBR(Master Boot Record) 첫번째 디스크의 첫번째 트랙의 첫번째 섹터 컴퓨터가 처음 부팅될때 BIOS가 읽기 시작하는 부분 파티션에 대한 정보가 있음. BIOS는 파티션의 정보를 읽고 active 파티션을 찾아 그 파티션의 부트섹터를 읽음. 한개의 디스크는 4개의 Primary 파티션을 가질 수있음 4개 중 한개를 extended로 대체할 수 있는데, 이거는 다시 논리적인 12개로 나눌 수 있음. Primary를 극복하기 위한...

서비스, 소켓

시스템과 독자적으로 구동되어 제공하는 프로세스, 예로 여러 서버들. 웹서버 등 메모리에 상주하는 프로세스. 많이 쓰므로 /usr/lib/systemd/system/ 디렉토리에 서비스이름.service로 확인 가능. 소켓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systemd가 구동. 예를 들어 원격 텔넷 서비스. 요청 끝나면 소켓 종료. 항상 가동될 필요가 없는 것. /usr/lib/systemd/system/에 소켓이름.socket으로 존재

카테고리 없음 2022.11.07

프로세스

PID: 프로세스ID 제일 처음 실행되는 프로세스 init systemd가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시스템데몬, 다른 데몬들의 상위존재 과거는 xinetd 로 썼음 위치는 /etc에 systemd랑 xinetd 둘다 있음. 프로세스 종류 부팅 : 데몬 프로세스들을 메모리에 넣는 것 프로세스 하드디스크에 있는ㄴ 실행코드를 메모리로 로딩 ps 프로세스 출력 -e 커널 프로세스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 출력 -f 프로세스에 대한 여러 정보(풀포맷)를 보여줌. kill -9 프로세스ID 프로세스 강제종료 -15는 정상종료 pstree 프로세스 트리

카테고리 없음 2022.11.07

네트워크

파일 수정 후 경로 restart www 웹서버 ftp ftp서버 mail mail서버 공통 네트워크 주소 예 : 192.168.111.0 마지막에만 0 0 ~ 255 중 0은 이 네트워크가 쓰고 255는 넷마스크가 씀 ping www.naver.com -> /etc/host.conf 조회 -> 없으면 /etc/hosts 조회 -> 없으면 /etc/resolv.conf (name서버의 ip주소가 있음.) 이 중 만약 없다면 응답 안함 있다면 ip주소 획득. 네트워크 장치 이름 ens~~~ ~~~ 숫자 OS에 따라 랜카드 지정 시 저거 수정 service network start stop restart status /etc/sysconfig/network 수정 이후는 restart 해 줘야 컴퓨터가 인식 ..

네임서버주소

네임서버주소만 알면 다른건 패턴 똑같음 네임서버란 입력한 주소의 ip주소를 찾아줌 네임서버 파일 위치 /etc/resolv.conf 이거는 네트워크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음. URL을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 네트워크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어서 내가 설정도 가능함. 만약 원하는 서버의 IP를 직접 입력하면 연결할 수 있음. 저 파일 내에 IP주소가 있는데, 이 IP주소의 서버에는 모든 컴퓨터의 URL과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 DNS(Domain Name System)서버 라고도 함 hosts 네임서버 이전에 전화번호부 같이 IP를 적어 두던 것 위치 : /etc/hosts 구조 IP 도메인 허나 이거는 해당 도메인의 IP주소가 변경되는 등 하면 내가 직접 수정해줘야 하는 그런 문제가 있음.